
미국의 대표적인 부동산 앱 중 하나인 질로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지금 사도 되는건지, 이미 오를대로 오른것은 아닌지에 대해서도 알아본 뒤 진입시기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질로우 무슨 회사지? 질로우는 부동산 관련 전 벨류체인을 제공하는 회사로, 요즘 용어로 프롭테크라고 불립니다. 부동산을 뜻하는 프라퍼티와 기술을 뜻하는 테크놀로지의 합성어로, 부동산 둘러보기부터, 구매 및 매매까지 연결할 수 있는 비즈니스를 뜻합니다. 질로우는 단순히 해당지역의 시세가 얼만지 알려주는 것 뿐만이 아닙니다. 개개인의 사용자 데이터를 활용해서 구매자가 원하는 것이 어떤것인지 파악해서 필요한 주택을 추천하는 것은 물론, 요구치와 유사한 주택 가격을 산출해주는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주택가격에 오차가 조금 있지..

성투를 위해선 여러 지표를 알아야만 합니다!! 여러 수치를 비교분석하고 난 뒤에야 합리적인 투자자가 될 수 있습니다. 이번엔 미국 선물 지수로, 주가의 방향성을 알아보겠습니다. 실시간 미국 선물지수 확인 방법 실시간 미국 선물 지수를 확인하는데는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웹사이트를 통해 지수 확인 인베스팅닷컴을 통해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검색창에 선물지수 확인이라고 검색하면 바로 나옵니다. 가장 널리 쓰이는 방법입니다. 아래와 같은 그림처럼 직관적으로 지수를 보여줍니다 S&P500선물지수, 나스닥 선물지수 등 여러가지 선물 지수를 모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어플로 지수 확인하기 인베스팅닷컴 어플 버전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또한 키움증권 영웅문 S에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타 증권사의 어플도 선물시..

선물? 무엇을 말하는걸까요? 선물이 뭘 뜻하는건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선물거래란? 쉽게 말해서 먼저 판다 라는 의미입니다. A 라는 상품이 현재 80원입니다. 저는 A라는 상품을 1달 뒤에 90원에 사려고 합니다. 이를 선물거래라고 합니다. 이렇게 선물거래를 하게되면 A라는 상품이 한달뒤 실제로 100원이 되더라도 저는 90원에 살 수 있습니다. 반대로, A가 한달 뒤 80원이 되더라도, 저는 90원에 사야합니다. 선물거래는 미국에서 1848년부터 시작된 금융기법으로, 역사가 깊은 금융 거래 방식입니다. 위험을 좀 더 능동적으로 받아들이자는게 목적이지요. 그러면 옵션이란 무엇일까요? 옵션도 어떻게 보면 선물거래와 의미가 겹칩니다.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특정 기간내에' 특정자산을 팔거나 살 수 있는..

미국 주식장은 365일 운영하지 않습니다. 아래 리스트가 미국 주식시장 (뉴욕증권거래소 / 나스닥 / 아멕스)의 휴장일입니다. 작년과 동일하게 2021년의 미국주식 휴장일은 연중 9번입니다. 21년도의 크리스마스는 토요일이기에 전일인 24일에 주식시장이 쉽니다 2021.01.01New Years Day 2021.01.18Martin Luther King, Jr. Day 2021.02.15Washingtons Birthday 2021.04.02Good Friday 2021.05.31Memorial Day 2021.07.05Independence Day 2021.09.06Labor Day 2021.11.25Thanksgiving Day 2021.12.24Christmas Day 추가적으로, 추수감사절의 익일..

미국 주식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을까? 꼭 돈을 낼 필요는 없습니다 . 국내 키움, 나무증권 등에서는 약 15분 지연 시세를 보여줍니다. 때문에, 키움에서 시세를 보고 매수 주문을 해도, 어? 왜 안돼? 하고 실시간 차트를 확인해보면 이미 그 구간은 지나갔죠.. 때문에 실시간 시세가 중요한데, 국내 증권사에선 이를 "유료"로 팔고 있다 이말입니다. 매달 약 8달러 정도를 지불해야한다고 합니다. 저는 개미라서 8달러가 아깝습니다. 한달에 8달러 이득내기도 어려운데 말이죠. 무료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키움 - 전원 체결 매매 1건 이상 사실 키움뿐만 아니라 다른 증권사도 비슷한 조건으로 실시간 시세정보를 오픈해줍니다. 국내 증권앱에서 실시간으로 보면 가장 편한데 그러기가 힘들다..

이번엔 미국 주식으로 수익을 올렸을 경우, 어떤 세금을 내야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국 주식 세금과 매우 다르기 때문에, 잘 알아보고 진행하셔야 합니다. 미국 주식 매도 양도소득세 미국 주식은 팔아서 이익이 나면 세금이 부과됩니다. 1년동안 판 주식 전체 이익이 250만원이 넘은 경우, 250만원을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서 22% 양도소득세를 내야합니다. 20년도엔 법이 개정되어, 한국 주식과 미국주식을 모두 더해서 발생한 이익에 대해서만 양도세를 내게 되었습니다. 국내주식에서 200만원 손실을 보고, 미국주식에서 100만원 이익이 났다면, 전체적으로 100만원 손실입니다. 때문에 이런 경우, 양도세를 내지 않아도 된다는 뜻입니다. 그럼 양도세는 언제 내야하는건가? 올해 250만원 이상의 ..

이번엔 미국 주가지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 주가지수는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다우지수 :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나스닥 : Standard & Poor's 500 Index S&P500 : NASDAQ Composite 간단하게 비교하면 아래의 사진과 같습니다. 아무래도 수치적으로 보여드리니 잘 안보이실 수 있을것 같아서, 그림으로 그려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3대 지수의 성장률은 어떤가? 딱 봐도 나스닥의 변동성이 엄청납니다. 변동성이 엄청나고 성장또한 남다른 이유는, 나스닥이 비교적 최근에 등장한 인덱스라 기술주를 많이 담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우지수와 S&P의 차이점 차이점은 지수 계산방식과 포함된 종목입니다. 시장 전체를 대표하는 것은 S&P500이라고 ..

GAFA의 일원인 아마존. 아마존은 지난주 결산을 발표했고 주가는 단번에 10% 가까이 올랐습니다.아마존의 결산 잘 되었을까요? 아마존의 사업은 장래성이 있을까요? 현재 주가는 적정한 것일까요? 아마존의 결산 내용 아마존 매출액은 2019년에 20.5%로 성장했습니다.Net Service Sales(AWS-아마존의 클라우드 서비스나 Amazon Prime 회원의 회원비 등)의 신장률이 32%로 Net product sales(Amazon에서의 쇼핑)의 13.0%보다 웃돌고 있습니다. 반면 비용 증가는 매출 증가보다 빠른 20.6% 성장했습니다. Fulfillment(배달비 등) 성장이 18.2%로 매출 성장보다 빠른 것은 Amazon이 Amazon Fresh(신선식품 배달)를 $14.99에서 프라임 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