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와이오엠

 

1. 사업개요

가. 산업현황

 

(1) 산업의 특성

폴리에틸렌(PE) 산업은 1930년 영국에서 대표적인 소비재 산업으로 발전했다. 

현재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는 폴리머 소재로 전기전자, 자동차, 기계, 건설업, 식품 및 의료 서비스업 등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되고 있다.

 

폴리에틸렌(PE)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으로 나뉘며, 화학적 저항성과 유연성으로 인해 산업 전반과 일상생활에서 응용되면서 수요와 공급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은 충격 저항성, 저온 내화성, 유연성, 가공성, 필름 투명성 등이 특징으로 공산품, 자동차 부품, 섬유 등의 포장재로 사용된다.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보다 융접점이 높고 특성이 강해 가공력과 강도, 내부 응력 균열 등이 우수하다. LDPE와 용도가 비슷하지만 무거운 포장 필름, 라미네이션 필름, 일반 포장 필름, 스크래치 랩 필름 등의 코팅 제품으로 사용된다.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은 LDPE보다 연화점이 높아 인장강도와 파열강도가 우수한 반면 충격강도와 인열강도는 열악하다.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은 강성과 자외선 투과성이 높은 반면 식품 산화유연성투과성이 낮아 일반 산업, 전자제품 포장식품 등에 활용된다.

(2) 산업의 성장 잠재력.

세계 폴리에틸렌(PE) 수요시장은 2020년까지 연평균 4.2%(CAGR)의 성장률과 연평균 3.5%의 성장률을 보이며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5년 전 세계 생산능력은 1,025만t으로 수요는 8,800만t이 예상되지만 2020년 생산능력은 1,2750만t, 수요는 1억1,170만t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폴리에틸렌(PE)의 주요 원료인 에틸렌은 수급 균형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지만 2015년 이후 수요에 비해 공급이 늘어나 가동률이 점차 안정되고 있다. 폴리에틸렌(PE) 무역수지는 2006년부터 2014년까지 안정적인 흑자구조를 유지해 왔으며 2014년 수출중량은 281만5000t, 수입중량은 25만8000t으로 무역흑자 상품이다. 국가별 폴리에틸렌 수출 비중이 높은 중국은 전체 수출국의 약 47%를 차지하고 있으며 향후 중국의 내수 자급률이 높아지면 국내 수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통상위원회, 2015년 산업경쟁력 조사 2015. 12

 

(3) 경기변동의 특징

폴리에틸렌(PE) 산업은 국내 제조사 간 경쟁으로 인한 가격 변동과 국제유가 공급 흐름에 따른 수입 증가, 가격 변동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대표적인 소비재 산업으로서 수출시장과 내수시장의 변화에 밀접한 영향을 받고 있다.

 

다만 신시장 창출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필름제작 사업은 더욱 정교하고 정밀해지고 있으며,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과 이들 시장의 요구에 맞는 고부가 제품 개발로 시장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나. 회사의 현황.

 

(1) 사업여건 및 사업부문 구분

(가) 영업조건

폴리에틸렌(PE) 산업은 사우디아라비아 15%, 미국 9%, 카타르 9%, 일본 8%, 태국 8%, 중국 47%, 베트남 6%, 인도 6%, 터키 5%, 러시아 3%, 콜롬비아 2%를 수입한다.

 

국내 시장의 HDPE 수요는 2014년 기준 94만2000t, 자급률은 228%, 내수 대비 수입비율은 2010년 1.7%에서 2014년 4.8%로 소폭 증가, LDPE 수요는 36만6000t, 자급률은 187%, 수입비율은 2010년 6.8%에서 2014년 26.5%를 차지하고 있다.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통상위원회, 2015년 산업경쟁력 조사 2015. 12

 

 

폴리에틸렌(PE) 산업은 수입제품 대 내수제품의 가격우위, 환율변동, FTA 체결에 따른 관세 인하 등으로 수익성이 떨어지고 있으며 내수시장 변화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2) 시장점유율

HDPE필름, VCI필름, LDPE필름 등 파트너로서 현대모비스와 LG전자의 안정적인 공급을 바탕으로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하지만 우리 회사가 생산하는 제품은 경기 변화에 민감하고, 제조품목의 다양화로 국내 시장점유율의 정확한 산정이 어렵다.

 

(3) 시장의 특성

가격경쟁력에서는 폴리에틸렌(PE)이 우위에 있지만, 품질경쟁력과 납품경쟁력에서는 국산품이 우위에 있어 원재료 수급안정화를 통해 가격경쟁력을 향상시켜 원가경쟁력을 높이고 스트렐을 통한 비용절감을 통해 품질향상을 유지하고 있다. 국제 품질 인증 표준인 ISO9001(품질 관리 시스템)과 ISO14001(환경 관리 시스템)을 제정하고, 생산성에 의해 정비한다.

댓글